오리지널스(애덤 그랜트)②: 지금 이 시기에 꼭 필요한 책

3. '좋은' 아이디어를 진언하기
<메디나의 성공요인>
▷세상이 변했다.
▷권한을 얻기 위해 이전과 다르게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터득했다.
- 신뢰를 잃기보다 신뢰를 얻을 수 있는 방법
- 경력과 인간관계를 훼손하지 않고도 자신의 의견을 적절한 시기에 효과적으로 피력하는 방법
1) 지위를 얻어야 함을 이해하라. "권력은 지위로부터 나온다."
◎권력: 타인을 대상으로 통제력이나 권위를 행사하는 것.
◎지위: 그 위치에 있음으로써 타인의 존중과 선망을 받는 것. 지위를 얻기 위해서는 능력을 입증할 기회가 있어야 한다. 지위는 주장한다고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인정을 받아야 생긴다.
◎인정을 받으면 괴짜점수가 생긴다. 괴짜점수가 있는 사람은 인정을 받는다.
2) 단점 내세우기: 지위를 얻기 위한 소통방식
◎언제 쓸 수 있을까: 듣는 사람이 이미 인식하고 있는 단점이 있는 경우, 색다른 아이디어(혹은 변화)에 회의적이고 허점을 찾아내려는 인간의 심리를 역이용할 수 있다. 힘 없는 자의 의사소통 방식으로 활용할 만하다.
◎효과
① 듣는 사람을 무장해제시킴 => 오히려 진정성 어필
② 똑똑하다는 인상을 줌 => 현명함, 통찰력을 어필 (폴리애나)
③ 겸손하다는 인상을 줌 => 신뢰감을 어필
④ 그 외의 단점을 생각해내기 어려워지면서, 제법 괜찮은 아이디어라는 편견이 생김(왜곡) => 아이디어 자체에 대해 훨씬 호의적으로 평가하게 만듦
*행복한 이유를 12가지나 생각하게 하면 3가지를 생각하게 했을 때보다 자신이 행복하지 않다고 생각하게 되는 현상과 같은 원리
3) 긍정적인 내용은 이해하기 쉽게 친숙도를 높여라.
◎사람은 낯설면(=생각해내기 어려우면) 거부감을 느낀다. 따라서 긍정적인 내용은 반대로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야 한다. (*과 같은 원리)
◎노래 리듬치기 실험: 제안자는 멜로디+리듬=전체 노래가 머릿속에서 재생된다.
◎아이디어 제안자는 혼자서는 머릿속에서 많이 생각했기 때문에 이미 너무 친숙하게 되었을지 모르나,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 그 아이디어가 어떻게 들릴지 상상하기가 불가능해진다.
◎단순 노출효과 활용: 위협을 줄이고 호감을 높일 수 있다. 새로운 아이디어에 대해 편안함을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개인 블로그에 의견을 계속 개진해서 올리는 것이 그 예이다. 단, 짜증을 유발할 정도로 하면 안된다.
4) 중간 관리자 말고, 고위층과 말단 직원들에게 아이디어를 제안하라.
◎중간 지위 순응성: 중간 지위에 있는 사람이 보수성이 제일 강하다.
◎원만한 상사는 비판을 꺼리고 협력과 규범순응을 중요한 가치로 여기기 때문에 갈등을 싫어한다. 기존 체제에 도전장을 내밀어본 경험이 있는 까칠한 직속상사가 오히려 열린 사고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사람이 성과를 거두는 데 덜 위협적인 태도를 보인다. 이들은 다양한 의견을 존중하며, 직원의 주장을 논박하는 경향이 있어 직원의 자기 주장 능력을 신장시키기도 한다. 까칠한 상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후졌지만, 운영체계는 끝내준다.
5. 여성, 특히 이중 소수자는 자기 주장을 하면 손해를 보는 것이 현실이다. 일단 지위를 얻은 다음 목소리를 내야 한다.
◎ 성희롱은 성적욕망이 아니라 처벌욕망에서 비롯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전통적 성 관념에서 벗어난 여성들을 처벌하고자 하는 욕망으로 인하여 주로 자기 주장 확실함/우월함/독립적임/도도함 등의 성향을 보이는 여성들이 타깃이 되었다.
◎ 이중소수자(예시 흑인여성)의 경우 더더욱 실패했을때 부당하게 책임을 져야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들에게 실패는 선택지가 될 수 없었다.
◎ 이들이 안전하게 아이디어를 진언하기 위해서는 지위를 얻은 다음 목소리를 내야 한다. 지위가 오르면 오히려 능력을 인정 받을 수 있다.
6. 표명 VS 탈출, 최선의 방법은
◎ 탈출구가 막혀있거나, 조직에 애정과 헌신이 있다면 자기 목소리를 내게 된다. 맡은 일은 해내는 사람이라는 지위를 얻는 일이 중요하다.
◎ 어떤 경우는 숨막힐 듯한 조직을 떠나는 것이 독창성을 발휘하는 데 더 나은 방법이 될지 모른다. 의견을 표출했는데도 먹통이라면, 다른데서 기회를 찾는 것이 더 나을지도 모른다.
◎ 최선의 방법은 자기 의견을 표명하고, 필요하다면 탈출할 준비를 하면서 위험포트폴리오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길이다.
